728x90

1. 항공기 기체구조에 이용되는 재료의 특성을 3가지만 쓰시오.

ㄱ. 성형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다.

ㄴ. 전기 및 열전도성이 좋다

ㄷ.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

ㄹ. 열처리를 함으로써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ㅁ.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가지고 있다.

ㅂ. 자원이 풍부하며, 제조 원가가 저렴하다.

ㅅ. 열에 강하다.

ㅇ. 금속재료가 경량이면서 강도가 우수하다.

ㅈ. 온도변화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변화가 작아야 한다.

ㅊ.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파괴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ㅋ.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동시에 변형이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2. 기체손상 처리방법(cleaning out, clean up, smooth out, stop hole)이란?

ㄱ. 크리닝아웃 : 트리밍, 컷팅 등 손상부분을 완전히 제거

ㄴ. 크린업 : 모서리의 찌꺼기나 날카로운 면 제거

ㄷ. 스무스아웃 : 스크래치, 리크 등 판에 있는 작은 홈을 제거

ㄹ. 스톱 홀 : 균열 등이 일어난 경우, 균열의 끝 부분에 뚫는 구멍


3. 기체구조의 수리조건 4가지를 써라.

ㄱ. 원래의 강도 유지 ㄴ. 원래의 윤곽 유지 ㄷ. 최소 무게 유지 ㄹ. 부식에 대한 보호


4. 항공기 구조수리 시 무게를 줄이는 방법을 2가지 쓰시오.

패치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만들고, 필요 이상의 리벳을 사용하지 않는다.


5. 모노코크 구조의 구성요소와 장단점을 써라.

ㄱ. 구성 : 정형재, 벌크헤드, 외피

ㄴ. 장점 : 공간확보가 용이하다. 유선형으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수 있다.

ㄷ. 단점 : 골격이 없어 작은 손상에도 전체 구조에 영향을 준다.

외피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무게가 무겁다.(비강도가 약하다.)


6. 세미 모노코크 구조의 구성요소와 장점을 써라.

ㄱ. 구성 : 벌크헤드, 프레임, 스트링거, 정형재, 세로대, 스킨

ㄴ. 장점 : 압축하중에 대한 좌굴이 없고, 무게당 강도가 높다. 또한 내부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7. 항공기 구조에서 동체의 주요 부재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ㄱ. 프레임, 벌크헤드 : 수직 부재로 동체의 형태를 만들고, 비틀림에 의한 변형을 방지 하며, 집중하중을 외피에 골고루 분산시킨다.

ㄴ. 론저론 : 세로 부재로 동체의 굽힘하중을 담당한다.

ㄷ. 스트링거 : 세로 부재로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을 방지한다. 

ㄹ. 스킨 : 동체에 작용하는 전단 및 비틀림 하중을 담당하고, 때로는 스트링커와 함께 압축 및 인장응력을 담당하기도 한다.


8. 날개의 주요 부재 3가지만 써라.

ㄱ. 스파, 스트링거 : 굽힘하중, 좌굴하중을 담당한다.

ㄴ. 리브 : 공기역학적 날개꼴을 유지한다.

ㄷ. 스킨 : 날개에 작용하는 전단 및 비틀림 하중을 담당한다. 때로는 스트링거와 함께 압축 및 인장응력을 담당하기도 한다.


9. rudder와 ruddervator에 대해 설명하시오.

방향타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빗놀이 운동을 하는 조종면이다. 러더베이터는 방향타와 승강키의 기능을 가지게 한 것으로 승강타를 작동할 때는 후부의 각면은 같은 방향으로 up이나 down으로 움직이고, 방향타로 작동할 때는 조종면은 반대 방향으로 up이나 down이 된다. 


10. MAC에 대해 쓰시오.

날개의 평균 공력 시위를 약자로 MAC로 나타내는데, 이것은 항공기의 무게 중심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평균 공력 시위는 날개의 평균 시위를 말한다. 즉 한쪽 날개의 평면 모양에서 날개의 평면 도심을 지나는 시위를 말한다. 


11. 1차 조종면과 2차 조종면을 구분하시오.

ㄱ. 1차 조종면 : 러더(방향타), 엘리베이터(승강키) 에일러론(도움날개)

ㄴ. 2차 조종면 : 플랩, 탭, 스포일러


12. 1차 조종면에 대하여 쓰시오.

1차 조종면은 항공기의 세 가지 운동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도움날개, 승강키, 방탕타를 말한다. 세로축에 대한 운동을 옆놀이라고 하는데 옆놀이를 일으키는 조종면이 도움날개이다. 또한 가로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운동을 키놀이라고 하는데 키놀이 운동을 일으키는 조종면이 승강키이다. 그리고 수직축 중심으로 일어나는 운동을 빗놀이라고 하며 빗놀이를 일으키는 조종면을 방향타라고 한다.


13. 항공기 기체구조에서 트러스 구조의 종류 2가지 써라.

ㄱ. Pratt truss :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선을 설치한 구조

ㄴ. Warren truss : 강재 튜브의 접합점을 용접함으로써 웨브나 보강선의 설치가 필요 없는 구조


14. 트러스 구조의 장점과 단점을 쓰시오.

ㄱ. 장점 : 설계와 제작이 쉽다.

ㄴ. 단점 : 공간마련이 어렵고, 유선형으로 제작이 어렵다.


15. 나셀의 역할을 쓰시오.

기체에 장착된 기관을 둘러싼 부분을 말하며 기관 및 기관에 부수되는 각종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나셀의 바깥면은 공기역학적 저항을 작게하기 위한 유선형으로 한다. 


16. 카울링(cowling)이란?

기관이나 기관에 관계되는 보기, 마운트, 방화벽주위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장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는 덮개.


17. 항공기 고양력장치의 종류 3가지를 써라.

ㄱ. 앞전 플랩(leading edge flap) : 슬롯, 슬랫, 크루거 플랩, 드루프 앞전

ㄴ. 뒷전 플랩(trailing edge flap) : 단순플랩, 분할플랩, 이중플랩, 파울러플랩

ㄷ. 경계층 제어 장치(boundary layer control)


18.  경계층 제어장치의 종류를 써라.

ㄱ. 불어날림 방식(blowing type)

ㄴ. 빨아들임 방식(suction type)


19. 고항력 장치의 종류를 써라.

ㄱ. 에어브레이크 ㄴ. 공중 스포일러(air spoiler) ㄷ. 지상 스포일러 ㄹ. 역추진 장치 ㅁ. 드래그 슈트


20. 비파괴 검사의 종류 5가지를 쓰시오

ㄱ. 침투검사(liquid penetrant inspection)

ㄴ. 자분탐상검사(magnetic particle inspection)

ㄷ. 와전류탐상검사(eddy current inspection)

ㄹ.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inspection)

ㅁ.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inspection)


21. 비파괴검사 중에서 침투검사의 절차를 간단히 서술하시오.

∙ 전처리 --> 침투 --> 세척 --> 현상 --> 관찰

ㄱ. 세척액으로 표면의 오렴을 제거한다.

ㄴ. 침투액으로 토포하고 5~20분 동안 기다린다.

ㄷ. 세척액으로 침투액을 닦아 낸다.

ㄹ. 현상액을 균일하게 도포한다.

ㅁ. 현상액이 서서히 견조죄면 결함을 관찰한다.


22. 침투탐상검사시 허위지시란 무엇인가?

세척이 불충분하거나 침투액이 검사물 표면에 흔적을 남길 때, 또는 현상제 오염에 의해 생기는 지시


23. 항공기의 hard time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여라

예방정비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장비(보기)나 부품의 상태에 관계없이 정비시간 또는 폐기시간의 한계를 정하여 정기적으로 분해점검 하거나 교환하는 정비방식의 기준시간(기간)으로 오버홀이나 시한성부품설정 등이 있다.


24. 사용시간(air/flight time)과 비행시간(block time)에 대해 설명하시오

ㄱ. 사용시간(air/flight time/time in service) : 항공기가 이륙하기 위하여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간부터 착륙하여 착지하는 순간까지의 시간, 작동시간이라고도 하며 점검주기나 부품의 수명을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을 말함.

ㄴ. 비행시간(block time) :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주기장에서 자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하여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25. 항공기의 최대이륙중량과 최대착륙중량에 대하여 써라

ㄱ. 최대이륙중량 : 비행기가 이륙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말한다.

ㄴ. 최대착륙중량 : 비행기가 착륙을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말한다.


26. 기본 자기 무게(basic empty weight)란?

승무원, 승객 등의 유용하중, 사용가능한 연료, 배출 가능한 윤활유의 무게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항공기 무게(구조 무게)


27. 항공기 위치번호 표시 방법 중 버턱라인, 워터라인, 그리고 날개의 위치에 대해 서술하라.

ㄱ. Buttock line : 동체의 수직 중앙선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정해지는 번호

ㄴ. Water line : 동체의 낮은 부분에서 어떤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수평면의 수직선을 측정한 높이

ㄷ. 날개의 위치 : wing spar % station으로 나타 냄


28. 날개앞전의 제빙장치(deicing system)를 설명하라.

ㄱ. 알콜분출식 : 날개 앞전의 작은 구멍을 통해 알코올을 분사하여 어는점을 낮게 함으로써 얼음 제거

ㄴ. 제빙부츠식 : 고무로 된 여러 개의 적당한 굵기의 긴 공기부츠를 날개 앞전에 부착 압축 공기를 맥동적으로 공급, 배출시켜 공기부츠를 팽창 수축시켜 얼음 제거. 


29. 방빙 방법의 2가지를 간단히 서술하라.

ㄱ. 화학적 : 결빙의 우려가 있는 부분에 용액을 분사, 어는점을 낮게 하여 결빙을 방지한다.

ㄴ. 열적 : 방빙이 필요한 부분에 덕트를 설치하고 가열된 공기를 통과시켜 온도를 높여줌으로써 얼음이 어는 것을 막는 장치이며, 전기적인 열을 이용하기도 함.


30. 산소계통에서 산소의 조절기능에 요구 유량형 산소 마스크의 산소 공급은?

호흡시 흡입할 때에만 산소가 흘러 공급되는 형식을 요구 유량형이라고 하며 산소 유량공급 방식은 해당 객실 압력 고도에 대해 필요한 산소 분압이 확보된 희석 방식 및 100% 산소를 흐르게 하는 것이 있으며 필요에 의해 선택 할 수 있다. 


31. 철강재료의 분류법에서 AISI 1025에 대해 설명하시오.

ㄱ. AISI : 규격(미국 철강협회)

ㄴ. 1 : 강의 종류로서 탄소강을 의미

ㄷ. 0 : 합금의 주성분을 %로 나타내는데 합금원소가 없음을 나타낸다.

ㄹ. 25 : 탄소의 평균 함유량을 나타내면 탄소를 0.25% 함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2. AA2024에서 각각의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ㄱ. AA : 알루미늄협회 규격

ㄴ. 2 : 알루미늄과 구리의 합금을 의미한다.

ㄷ. 0 : 합금의 개량번호(개량하지 않음)

ㄹ. 24 : 합금의 종류가 24S


33. AN 3 DD-5A 볼트의 규격을 쓰시오.

1. AN : 규격명을 의미하며 AN 표준 기호이다.

2. 3 : 표준 육각머리 볼트로 볼트의 지름이 3/16인치임을 의미

3. DD : 볼트의 재질이 2024이다.

4. 5 : 볼트의 그립길이가 5/8인치이다.

5. A : 나사끝의 구멍없음


34. AN 315 D 7R의 너트를 설명하라.

1. AN 315 : 평 너트

2. D : 재질 2017T

3. 7 : 사용볼트의 직겅 7/16"

4. R : 오른나사


35. RIVET NAS1739M4-3에서 다음의 뜻은?

1. 1739 : 카운터 성크

2. M : 모넬

3. 3 : 샹크의 길이


36. SAE 4130의 의미를 쓰시오

1. SAE : 미국 자동차 기술협회 규격

2. 4 : 합금강의 종류(크롬-몰리브덴강)

3. 1 : 합금원소의 합금량(크롬-몰리브덴강 1%)

4. 30 : 탄소함유량(0.30%)


37. 크리프에 대해 서술하고 아래 그림을 완성하시오.

크리프는 일정한 응력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중이 일정하더라도 변형률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 크리프교점 --> 크리프율 --> 천이점 --> 파단


38. 딤플링이란 언제하고, 어느 정도의 두께로 해야하는가?

1. 뜻 : 얇은 판재에 카운터싱크 리벳이나 스크루를 장착하기 위해 머리모양의 홈을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2. 언제 : 판재의 두께가 리벳머리의 두께보다 얇은 경우, 접시머리 리벳 작업에서 카운터싱킹을 해야 하나 판재가 얇아 불가능할 때

3. 두께 : 판재의 두께가 0.04in 이하일 때

4. 방법 : 딤플링툴을 이용하여 판재를 눌러서 오목한 홈을 만들며 장칙시 리벳머리가 판재위를 나와서는 안된다.


39. 자동조종장치에서 요댐퍼 기능 3가지는?

1. 리드-래그 운동허용, 2. 깃의 이동거리 제한, 3. 운동을 부드럽게 함


40. 항공기 조종케이블 장치에서 다음의 역할 및 기능을 설명하여라.

1. 풀리 : 케이블을 안내하며 방향전환에 사용된다.

2. 페어리드 : 케이블의 처짐, 얽힘, 흔들림을 방지하고 3" 이내의 방향전환에 사용한다.

3. 가이드 :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내 역할을 한다.

4. 턴버클 : 케이블을 연결하고,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품이다.

5. 케이블 텐션미터 : 케이블 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계측장비이다.

6. 케이블 텐션 레귤레이터 :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조절된 장력을 유지시킬수 있는 부품의 일종이다.


41. 조종계통의 승강키가 상하로 끝까지 움직이지 않는다. 원인 및 조치사항은 무엇인가?

1. 원인 : 스톱의 위치가 부적절하다/푸시-풀 튜브가 구부러져 있다/베어링 연결부가 닳았다.

2. 조치 : 스톱의 위치를 조절한다/푸시-풀 튜브를 교환한다./연결부의 베어링을 교환한다.


42. 조종간의 움직임이 승강키에 전달되지 않는다. 원인과 조치사항은 무엇인가?

1. 원인 : 조종계통의 유압이 너무 낮을 경우

2. 조치 : 작동유 저장탱크의 오일 양을 점검하고, 유압시험대를 연결하여 계통의 작동상태를 점검한다.


43. 조종간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빡빡하다 원인과 조치사항은 무엇인가?

1. 원인 : 조종케이블의 장력이 너무 큰 경우, 조종케이블이 풀리에서 벗겨진 경우 외부 물질에 의해 케이블이 오염된 경우

2. 조치 :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한다.케이블의 조립 및 정렬 상태를 점검한다. 오염된 부분을 세척후 리그작업을 수행한다.


44. 조종계통의 승강키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경우 원인과 조치사항을 써라.

1. 원인 : 연결부의 베어링이 닳았다/푸시풀튜브의 끝에 있는 구멍이 너무 커졌다./동체에 연결되는 벨 크랭크 부위의 베어링 볼트가 닳았다.

2. 조치 : 베어링 교환/푸시풀튜브 교환/베어링이나 볼트 교환


45.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조종면의 평형잡기 이유 : 항공기의 구조상 해로운 flutter나 buffeting을 방지하고 조종성에 안전을 주기 위함

2. 조종면 평형잡기 기구 3가지(수공구 제외) : 평형 고정대, 평형 받침대, 평형 추, 정반


46. 최신의 항공기 조종계통에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적인 신호로 조종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Fly-by-wire 조종계통


47. 케이블의 종류 3가지와 특징을 간단히 쓰시오

1. 1X19 : 비가요성 케이블로 유연성이 없이 구조 보강용 케이블로 사용

2. 7X7 : 가용성 케이블로 내마멸성이 크다.

3. 7X19 : 초가요성 케이블로 강도가 높고 유연성이 매우 좋아 항공기의 주 조종계통에 사용된다.


48. 조종케이블의 7X7, 7X19의 의미는?

1. 7X7 : 7개의 와이어로 1개의 가닥을 만들고 7개의 가닥으로 1개의 케이블을 만든 것으로 가요성 케이블이라고 한다. 초가요성 케이블보다 유연성은 없지만 내마멸성이 크다.

2. 7X19 : 19개의 와이어로 1개의 가닥을 만들고 이 가닥 7개로 1개의 케이블을 만든 것으로 초가요성 케이블이라고 한다. 케이블 강도가 높고 유연성이 매우 좋아 항공기의 주 조종계통에 사용한다.


49. 케이블의 검사방법을 써라.

1. 케이블의 와이에어 잘림, 마멸, 부식 등이 없는지 세밀히 검사한다.

2. 와이어의 잘린선을 검사할 때는 천으로 케이블을 감싸서 길이 방향으로 천천히 문질러 본다.

3. 풀리와 페어리드에 닿은 부분을 세밀히 검사한다.

4. 7X7 케이블은 1인차당 3가닥, 7X19 케이블은 1인치당 6가닥 이상 잘렸으면 교환한다.


50. 항공기 조종케이블 의 내부 부식검사는 어떻게 하는가?

케이블의 장력을 낮추고, 케이블을 꼬여진 반대 방향으로 조심스럽게 비틀면서 내부 부식 여부를 검사한다. 내부까지 부식이 진행되었으면 케이블을 교환한다.


51. 케이블 세척 방법 3가지를 쓰시오

1. 쉽게 닦아 낼 수 있는 녹, 먼지 등은 마른 수건으로 닦아 낸다.

2. 바깥 면에 고착된 녹, 먼지 등은 #300~#400 정도의 샌드페이퍼로 없앤다.

3. 케이블 표면에 칠해져 있는 오래된 방부제나 오일로 인한 오물 등은 깨끗한 수건에 솔벤트나 케로신을 묻혀 닦아낸다.


52. 다음 각 항목을 맞게 연결하시오.

1. Burning --> 소손, 2. Scratch --> 긇힘, 3. Chafing --> 마찰, 4. Fatigue failure --> 피로파괴, 5. Fretting Corrosion --> 마찰부식


53. Sealant의 기능을 5가지 써라.

1. 공기에 의한 가압에 견디도록 한다. 2. 연료 등의 누설을 방지한다. 3. 공기 기포의 통과를 방지한다.

4. 풍화작용에 의한 부식을 방지한다. 5. 접착제 기능으로 응력 분산 및 균열 속도 지연


54. 시일(seal)의 목적 5가지를 쓰시오.

1. 먼지 첨부 방지, 2. 수분 첨부 방지, 3. 액체의 누설 방지, 4. 내부 공기 압력의 누설 방지, 5. 기체 표면의 홈을 메워 공기 흐름의 저항 감소


55. 리벳작업시 리벳지름과 홀의 간격은 얼마인가?

0.002~0.004인치(리벳의 보호피막 손상방지의 목적)


56. 리벳작업시 최소 연거리 또는 끝거리(edge distance)는 무엇이며, 어떻게 정하는가?

판재의 모서리와 이웃하는 리벳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최소 2D, 최대 4D, 접시머리리벳은 2.5D


57. 리벳작업에서 피치는 무엇을 말하며, 어떻게 정하는가?

같은 리벳 열에서 인접한 리벳의 중심 간의 거리를 말한다. 최소 3D 이상, 최대 12D


58. 리벳작업시 리벳의 직경은 어떻게 결정 하는가?

접합 판재 중 두꺼운 판 두께의 3배로 한다.


59. 리벳머리의 지름을 D라 할 때 성형머리 지름과 높이는 얼마인가?

성형머리 지름 : 1.5D이고, 성형머리 높이 : 0.5D


60. 항공기의 기체 구조부를 수리할 때에 최소중량유지를 위한 고려사항 2가지를 쓰시오

패치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만들고, 필요 이상의 리벳을 사용하지 않는다.


61. 성형점(mold point : 굽힘점)에 대해 쓰시오

금속판을 구부릴 때 판재의 외부 표면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을 말한다. 


62. 항공기에 사용하는 특수리벳의 종류를 써라.

체리리벳, 폭발리벳, 리브너트, 고전단리벳


63. 리벳의 직경을 정할 때 어떻게 하는가?

체결하고자하는 판재(더 두꺼운 판재) 두께의 3배로 한다.


64. 다음 도면 문구를 해석하라

∙ 37RVT EQ SP STRAGGERED

--> 37개의 리벳을 똑같은 간격으로 좌우 엇갈린 배열에 따라 장착한다.


65. 고전단 리벳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용도를 기술하라.

고전단 리벳(hi-shear rivet)은 높은 전단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전단강도는 일반 리벳의 약 3배 정도이다. 높은 전당강도가 요구되는 구조재 결합에 주로 사용한다.


66. 블라인드 리벳이란 어떤 것이고, 이를 사용해선 안되는 곳은?

리벳 작업을 할 구조물의 양쪽 면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작업공간이 좁아서 버킹바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 사용하는 특수리벳의 일종이다. 종류로는 중공식 및 고정식 체리리벳, 폭발리벳, 리브너트 등이 있다. 강도가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는 사용할 수없다.


67. 카운터 싱킹이란?

플러쉬 헤드 리벳머리가 판재 접합부에 꼭 맞도록 판재의 홈을 원추형으로 절삭가공하며 판재두께가 리벳헤드의 두께보다 클 경우에 사용한다.


68. 카운터 싱크 리벳의 용도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여라

1. 사용처 : 항공기 기체의 항력을 줄이기 위해서 외피에 많이 사용하는 리벳이다. 

2. 미사용처 : 인장력이 작용하는 곳, 진동 및 소음발생지역, 주 구조부, 유체의 기밀을 요하는 곳


69. 클래비스 볼트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1. 사용처 : 스크루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에 홈이 패여져 있으면 전단 하중을 받는 부분에 사용되는데 특히 조종계통에 많이 사용된다. 

2. 사용해서는 안되는 곳 : 인장하중이 작용하는 곳

3. 사용 공구 : 스크루 드라이버


70. 인터널 및 익스터널 렌칭볼트의 규격번호는?

MS2004~20024, NAS624~644


71. 항공기 구조에서 나비너트의 일반적인 사용처는?

호스의 클램프나 배터리 단자와 같이 손으로 조여도 무방하거나 또는 자주 풀었다 조였다 하는 장소에 사용한다.


72. 호스와 튜브의 호칭치수는?

hose : 내경, tube : 외경과 두께


73. 항공기에서 아이볼트는 어디에 사용하는가?

볼트 머리 부분에 외부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킬 때 사용한다. 착륙장치, 케이블 단자 등에서 사용


74. 자동고정너트 사용을 금지하는 곳은?   

볼트 너트의 결손시 비행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장소, 회전력을 받는곳, 이탈시 기관 흡입구에 유입 유려가 있는 장소, 수시로 여닫는 점검창 패널 도어등


75. 손상 허용 설계(damage tolerance design)

항공기를 장시간 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조 부재의 피로 균열이나 혹은 제작 동안의 부재 결함이 어떤 크기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발견될 수 없기 때문에 그 결함이 발견되기 까지 구조의 안전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보충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76. 페일 세이프 구조(fail safe structure)

구조의 일부분이 피로로 파괴되거나 파손 되더라도 나머지 구조가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명적인 파괴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


77. 안전수명

피로시험 중 전체의 피로시험에 의해 기체 구조의 수명을 결정하는 것


78. 페일 세이프 구조의 종류 4가지

다경로 하중 구조, 이중구조, 대치구조, 하중 경감구조


79. Al 와이어 strip시에 주의사항은 무엇인가?

1. 규격에 맞는 와이어스트리퍼를 사용한다. 

2. 내부의 가는선 가닥이 cut 되지 않도록 한다.

3. 와이어 규격에 따라 cut 허용한계를 넘으면 안된다.


80. Al 화학처리 방법 중에 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알로다인 처리 방법. 알로다인 처리는 알루미늄 합금의 부식저항을 증가시키고 페인트 접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화학적 표면 처리법


81. Al alloy 부식처리 후 화학피막처리의 목적과 방법 2가지를 써라

1. 목적 : 금속표면에 내식성 피막을 형성시켜 부식 방지

2. 방법 : 알로다인 처리, 양극 처리


82. Al alloy의 특징과 장점을 써라.

1. 전역성이 우수하여 성형 가공성이 좋다.

2. 상온에서 기계적인 성질이 우수하다.

3. 내식성이 양호하다.

4. 시효경화성이 있다.

5. 합금원소의 조성을 변형시켜 강도와 연신율을 조절 할 수 있다.


83. 항공기 기체에 al합금 재료는 다른 금속합금에 비해 어떤 것이 좋은가?

1. 가볍다. 2. 강도가 높다. 3. 부식에 강하다. 4. 경제성이 좋다.


84. 일반적인 표면 부식의 원인을 써라.

표면 부식은 금속 표면이 공기 중의 산소와 직접 반응을 일으켜 생긴다.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 염분, 가스 등에 의해서 부식이 촉진되기도 한다.


85. 입자간 부식 발생시 그 원인, 검사방법, 그리고 조치사항을 쓰시오.

1. 원인 : 부적당한 열처리

2. 검사방법 : 초음파검사, 와전류검사, 방사능검사

3. 조치사항 : 적당한 방법으로 세척 후 방부처리


86. pitting corrosion(점 부식) 은?

알루미늄, 니켈, 크롬 합금 등의 재료에서 열처리 잘못이나 기계작업에서 생기는 합금 표면의 균일성 결여에 의한 부식으로 국부적으로 콩알만한 침식이 점처럼 된다. 


87. 금속재료에서 시효경화란 무엇을 말하는가?

열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금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말하며, 상온시효과 인공시효가 있다.


88. 시효경화 알루미늄 합금 종류 1가지는?

두랄루민(al2017), 초두랄루민(al2024)


89. Wheel의 속도에 따라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스키드 컨트롤 제너레이터(Skid control generator)


90. skid control generator의 4가지 기능을 설명하라.

normal skid control, locked wheel skid control, touchdown protection, fail safe protection


91. 브레이크 계통에 스폰지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조치사항을 쓰시오.

1. 원인 :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계통에 공기가 차 있을 때 발생한다.

2. 조치 : 유압계통에서 공기를 배출시키는 Air bleeding 작업을 실시한다.


92. 주 착륙장치의 brake equlizer의 역할은 무엇인가?

주 착륙장치의 제동장치가 작동되어 활주 중에 항공기가 멈추려고 할 때 트럭의 앞바퀴에 하중에 집중되어 트럭의 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들려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93. 브레이크 계통에서 dragging 현상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서술하시오.

브레이크 정치 유압계통에 공기가 차 있거나 작동기구의 결함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 후 제동력을 제거하여도 원상태로 잘 회복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94. 브레이크 계통에서 grabbing 현상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서술하시오.

제동판이나 브레이크 라이닝에 기름이 묻거나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거칠게 작동하는 현상이다.


95. 브레이크 계통에서 fading 현상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서술하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과열되어 브레이크 라이닝 등이 소손됨으로써 미끄러지는 상태가 발생하여 제동효과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96. 브레이크 장치중 segment rotor brake의 특징은 무엇인가?

고압의 유압계통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중형급 브레이크 장치이다. 로터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고, 스테이터 둘레에는 크기가 작고 마찰력이 큰 라이닝 디스크가 여러 개 있다.


97. 항공기 Brake De-booster valve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브레이크를 작동할 때 일시적으로 작동유의 공급을 증가시켜 신속한 제동과 신속한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내부압력감소 --> 오일유량증가 --> 신속한 제동)


98. brake나 tire의 마찰로 인하여 tire의 압력이 과열팽창되었을 때 과압되는 공기압을 배출하여 타이어의 터짐을 방지하는 것은?

fuse plug


99. 항공기 타이어의 마모검사 및 교환조건을 써라.

1. 검사 : 트레드와 사이드 월의 마모를 검사하는데 트레드 홈의 깊이를 깊이 게이지로 측정한다.

2. 조건 : ㄱ. 트레드가 벗겨지거나 가로지르는 깊은 손상일 때, ㄴ. 측면부에 손상이 있을 때, ㄷ. 부분적으로 과도한 마멸 또는 불평형 마멸 상태, ㄹ. 플라이 수의 25%이상 손상되었을 때, ㅁ. 플라이 또는 와이어비드 사이가 벌어진 경우


100. 항공기 타이어에 보급하는 기체는 주로 질소가스를 사용하는데 질소가스의 종류와 보급 이유를 쓰시오.

1. 종류 : water pumped N2와 oil pumped N2가 있으나 water pumped N2만을 보급한다.

2. 이유 : 공기중의 산소는 타이어 고무와 고온고압에서 반응하여 질을 저하시켜 수명이 감소되고 파열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101. 항공기 착륙장치에서 anti skid system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여라.

바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브레이크의 작동유압을 조절하여 제동 시에 타이어가 최소 회전 속도를 유지하여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고 지면 마찰력 증가로 제동거리 단축과 타이어의 flat을 방지한다.


102. 연료탱크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라

1. 인테그랄 연료탱크 : 날개보 및 외피로 이루어진 공간을 밀폐제를 이용 밀폐하여 사용.

2. 블래더형 연료탱크 : 금속제의 탱크를 날개보 사이의 공간에 내장하여 사용


103. 항공기 연료이송방법 2가지에 관해 기술하시오

1. tank to tank transfer : 연료탱크간의 이송.

2. tank to engine transfer : 탱크에서 엔진으로 이송


104. 항공기 이륙시 nose gear가 접히는 과정에서 앞바퀴가 중심을 벗어나게 되면 앞바퀴와 동체 wheel wall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때 앞바퀴를 중심으로 오도록 잡아주는 장치는?

centering cam


105. 항공기가 착륙후 ground taxing 중 앞바퀴에 생기는 공진현상을 감지하여 감쇠시키는 장치는?

시미 댐퍼(shimmy damper)


106. 바퀴다리 계통의 센터링 실린더의 역할을 무엇인가?

항공기가 착륙하는 과정에서 완충 스트럿과 트럭이 서로 경사지게 되었을 때 이들이 수직이 될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107. 항공기 이륙시 앞바퀴의 접개들이 장치가 들어갈 때 wheel wall(바퀴칸)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치는?

center device : 쇼크 스크러트 내부에 있는 센터링 캠에 의해서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지면 바퀴를 정면으로 정렬시킨다.


108. 타이어의 과도한 열팽창으로부터 압력증가를 막는 것은?

타이어의 손상방지를 위한 것이 퓨즈 플러그이다.


109. 항공기 랜딩기어에서 시미 댐퍼의 기능은 무엇인가?

항공기의 이착륙 또는 지상활주시 지면과 타이어 밑면의 가로축 방향의 변형과 바퀴의 선회축 둘레의 진동과의 합성된 진동이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시미현상이라고 하고, 이 시미 현상을 흡수 완화 시켜주는 장치를 시미댐퍼라고 한다.


110. 베어링의 손상 상태 3가지 유형을 써라.

1. 떨어짐 : 베어링의 표면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불규칙적이고, 비교적 깊은 홈 형태의 결함이다.

2. 얼룩짐 : 베어링 표면이 수분 등과 접촉시 생기는 것으로서 접촉부분 원래의 색깔이 변색된 것과 같은 결함이다. 

3. 밀림 : 베이렁이 미끄러지면서 접촉하는 표면의 윤활 상태가 좋지 않을 때 생기는 결함이다.


111. 아크(arc)용접시 사용되는 피복 용접봉에서 피복제의 역할 3가지를 설명하시오.

1. 아크를 안정시켜준다. 2. 용융점이 낮고 적당한 점성을 가진 가벼운 슬래그를 만든다. 3. 용착 금속의 탈산 및 정련 작용을 한다. 4. 용척 금속에 필요한 원소를 공급한다. 5. 용착 금속의 흐름을 좋게 한다. 6. 용적을 미세화하고 용착 효율을 높인다. 7. 용착 금속의 급랭을 방지한다. 8. 전기 절연 작용을 한다. 9. 슬래그의 제거를 쉽게 하고 파형이 고운 비드를 만든다.


112. 산소-아세틸렌 용접시 얇은 판재에 전진법을 사용하나 후진법을 사용하나?

전진법


113. cable의 종류 3가지와 특징을 간단히 써라.

1. 탄소강 케이블 : 조종계통에 적합, 고온 영역에서 사용 불가.

2. 내식강 케이블 : 주 조종계통에 사용, 바깥부분에 노출되는 곳과 고온 영역에서 사용가능.

3. 비자성 내식강 케이블 : 내식성이 요구되거나 비자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


114. 토크렌치의 길이가 10인치, 연장공구의 길이가 5인치일때 900in-lb로 토크를 주려면 실제 값은?

T={(L+E)R]/L=[(10+5)X900]/10=1350in-lb


115. 한 장의 도면에 항공기를 나타낼 수 없으므로 2장의 도면이 추가된다면 그 두개의 명칭은?

상세도면, 조립도면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