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체 정비 방식 용어를 설명 하여라.
1) 기지정비(station) : 항공기가 발착하는 지점으로 출발기지, 중도기항기지, 종착기지, 반환기지 등으로 분류한다.
2) 모기지(main base) : 정비를 위한 설비 인원 및 부품등을 충분히 갖추고 정시점검 이상의 정비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기지
3) 운항정비(line maintenance) : 항공기의 운항을 직접 지원하는 정비로서 간단한 일상 점검, 유류의 보급, 비행 중의 결함 처리 및 이륙 준비를 위한 확인 작업등을 말한다.
2, Scheduled Maintenance(정시점검)에 대해 서술하시오.
점검 항목을 계통별이나 부품별로 분류하고 일정한 비행시간마다 점검 주기를 정하여 점검하며 종류에는 A, B, C, D 그리고 ISI(내부구조검사)가 있고, 각 정시점검에 속한 정비요목들은 정해진 주기 내에 수행 완료하여야 한다.
3. 정비요목에 대하여 서술하여라.
정비기법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부위에 대하여 점검항목, 정비실시 시기와 방법 등을 정한 것.
4. 항공기 정비에서 On condition maintenance(신뢰성 정비)의 뜻은?
장비나 부품 중에서 시한성 정비 방식에 의하지 않고, 정기적인 육안검사나 측정 및 기능 시험 등의 방법에 의해 장비나 부품의 감항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정비 방식을 말한다.
--> 오버홀(overhaul) : 기체, 기관 및 장비 등을 완전 분해하여 작업공정을 거처 재조립하여 사용 시간이 0이 되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 상태정비(condition maintenance) : 계통이나 구성품의 고장을 상태에 따라 분석하여 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항공기의 감항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정비 방식을 말한다.
--> 작동점검(operation check) : 계통이나 구성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를 점검하기 위하여 항공기의 작동상태에서 수행하는 정비 조작을 말한다.
--> 기능점검(function check) : 계통이나 구성품이 작동이나 각종 작동유 및 연료의 흐름상태, 온도, 압력 등이 제작자의 지시대로 정상 기능을 발휘하고 허용 한계치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세부 검사로서, 항공기에 부착된 상태로 수행하는 정비 조작이다.
5. Hard Time(시한성 정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항공기의 예방정비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장비나 부품의 상태는 관계하지 않고 정비시간의 한계 및 폐기시간의 한계를 정하여 정기적으로 분해, 점검하거나 폐기한계에 도달한 장비나 부품을 새 것으로 교환하는 정비 방식이다.
6. 항공기 지상정비지원이란?
운항에 따른 일차적인 지원정비를 말하며 항공기 지상취급, 지상보급 그리고 세척 및 부식처리작업 등이며 감항성 확인을 위한 비행가능상태의 확인작업도 포함된다.
7. 공장정비(shop maintenance)의 종류 3가지를 써라.
기체공장정비, 기관공장정비, 전자보기 공장정비(장비품 공장정비)
--> 기체공장정비 : 항공기의 감항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체에 관련되는 정비를 수행하는 공장으로 항공기의 정시점검과 기체의 오버홀, 기체의 대수리, 개조, 부식처리, 기체 내부의 개조 및 지상 지원용 장비의 수리업무를 관장한다.
--> 기관공장정비 : 항공기로부터 떼어낸 기관에 대해 기관의 정시점검, 기관의 중정비, 기관의 상태 정비, 기관의 오버홀 등을 수행하는 정비이다.
--> 전자보기 공장정비 : 항공기에 탑재한 통신 전자계통의 정비 및 부품과 전기 및 계기계통의 부품과 각종 보기계통의 장비를 벤치 체크하여 결함이 있으면 수리하고 시한성 부품의 교환 및 오버홀 등을 수행하는 정비이다.
8. 공장정비의 3단계를 쓰시오.
오버홀, 수리, 벤치체크
9. 항공기 정비에서 Check의 종류 3가지를 써라.
육안점검(visual check), 기능점검(function check), 작동점검(operation check), 분해점검(Disassembly check)
10. 중간점검(Transit check)을 간단히 설명하라.
항공기의 계속적인 운항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점검으로 외부의 손상, 누설, 부품의 손실, 장비품의 작동상태 및 부착물의 고정상태 확인 등을 walk around check로 행한다. 이 점검은 중간기지에서 수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시발기지에서도 운항편이 바뀔 때마다 실시되어야 한다
11. 주간점검이란?
비행 전,후 점검 대신 제작회사에 따라 적용하는 것으로 항공기의 출발태세를 점검하며, 항공기 내외의 손상, 누설, 마모 등의 상태를 매 7일마다 점검하며 점검항목도 비행 전후 점검과 비슷하다.
12. 정비기지에 대해 설명하라.
운항정비 및 정시점검을 포함한 주요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지
13. maintenance requirement(정비요구)에 대하여 쓰시오.
반드시 수행하여야 할 정비작업의 항목과 시간의 간격 및 시기, 절차 등을 말하며 작업요구, 작업표준, 작업절차 등으로 구분된다.
정비작업의 구체적인 항목으로써 1. 검사/점검(inspection/check) 2. 수리(repair) 3. 교환(replace) 4. 보급(servicing) 5. 폐기(discard) 등을 말한다.
14. 정비사가 수행하는 '확인행위'를 4가지 쓰시오.
ㄱ. 정비한 항공기에 대하여 확인하는 행위 ㄴ. 긴도조절(리깅) 또는 간격의 조정작업 확인
ㄷ. 규격장비품 또는 부품의 교환작업 행위 ㄹ. 수리 또는 개조한 항공기의 항공일지에 서명
15. 항공기 정비시 작업자의 기본 지침 4가지는?
ㄱ. 사고예방을 위한 규정, 절차의 준수 ㄴ. 보호 장구의 착용
ㄷ. 작업장의 청결상태 유지 ㄹ. 정리정돈 및 사고 잠재요인 제거 노력
16. 항공기 기체구조 수리의 기본 4대 원칙을 써라.
ㄱ. 원래의 강도 유지 ㄴ. 원래의 윤곽 유지 ㄷ. 최소의 무게 유지 ㄹ. 부식에 대한 보충
17. 정비체계(maintenance system)란?
정비요구를 계획 실시함에 있어 기본적인 운용형태 또는 정비의 체제를 의미하며, 정비개념, 정비요구, 정비방법 등 전반적인 정비활동을 말함
18. 항공기의 안전수명이란 무엇인가?
부재의 피로파괴 등을 고려하여 허용응력과 안전여유를 고려한 범위에서 작동할 때 당해 항공기의 부재가 파괴되지 않고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수명을 말한다.
19. 항공기 분해검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여라.
Disassembly check란 부품이 허용 한계치 이내 인지, 손상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해하여 세척 후 검사함을 말한다.
20. 표본검사(sampling inspection)에 대하여 쓰시오.
동일 형식의 항공기나 기관 및 부푼품의 표본 수를 정하여 감사함으로써 전량을 검사 하는데 필요한 인력, 물자 및 시간의 소모를 줄이고 해당 형식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검사방법을 말한다.
21. 항공기의 감항성이란 무엇인가?
Airworthiness란 항공기가 운항 중에 고장 없이 그 기능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2. 정시점검(scheduled maintenance) 이란?
항공기의 각 계통에 예방정비 및 감항성의 확인을 위해서 일정한 비행시간 간격으로 수행하는 점검을 말한다. 정비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으며 A, B, C, D점검과 내부 구조 검사 등으로 구분된다.
23. 점검의 종류를 3가지로 기술하시오.
검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나 정상 여부의 판정만이 아니고 상태확인 시험등을 말하며 간단한 불량상태 조치도 포함된다. (일반점검GVI, 상세점검DI, 특수점검SDI)
24. 항공기 정비에서 정상작업과 특별작업의 차이를 설명하여라.
ㄱ. 정상 작업 : 항공기의 감항성을 유지하고 확인하기 위해서 일정한 기간마다 수행하는 계획정비와 항공기 운항 중에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하는 고장에 대해 조치하는 비계획정비 작업을 말한다.
ㄴ. 특별 작업 : 항공기 및 관련 장비의 기능변경 및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개조작업 및 일시적인 검사 작업을 말한다.
25. 부품도해목록(IPC : Illustrated Parts Catalog)에 대해 쓰시오.
장비나 부품의 분해, 조립 순서 등을 도해하여 각 단위 부품에 번호를 명기하여 그 번호에 의해 부품의 확인이나 신청을 하기 위한 부품 번호를 찾을 수 있도록 기술되어 있는 기술 자료를 말한다.
26. 최소 구비장비 목록(MEL : minimum equipment list)의 목적을 간단히 기술하시오.
비행조종계통과 기관 및 착륙장치 계통 등의 감항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경미한 결함의 수정이나 감항성에 영향이 없는 장비의 교환 작업이 정시성에 해를 끼치게 될 경우에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다음 기지까지의 정비작업을 이월시켜 운항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27. 부족 허용 부품 목록(MPL : missing part list)에 대해 쓰시오.
감항성에 침해하는 요소가 없는 범위 내에서 운항중에 분실이나 멸실된 부품에 대하여 정시성의 확보를 목적으로 운항을 허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재와 설비 및 시간이 확보될 때에는 즉시 원상태로 복원한다. 그리고 멸실된 부품은 조종석에 게시하고 비행일지에 기록하여야 한다.
28. 항공법에서 항공업무란?
항공업무라 함은 항공기에 탑승하여 행하는 항공기의 운항(항공기 조종연습은 제외), 항공교통 관제, 운항관리 및 무선설비의 조작과 제22조의 규정에 의하여 정비 또는 개조한 항공기에 대하여 행하는 확인행위를 말한다.
29. 정비사의 "확인행위"를 4가지 쓰시오.
ㄱ. 발착 항공기의 일반사항 파악 및 불량개소에 대한 적절한 조치와 신속한 연락
ㄴ. 실시한 정비작업의 확인
ㄷ. 항공기의 출발태세 완료 확인
ㄹ. 각 지점에서의 운항정비의 확인
30. 항공보안시설이란?
전파, 등화, 색채 또는 형상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로서 건설 교통부령(항공법 2조 16항)으로 정하는 것.
31. 항공법상의 항공관련 시설이란?
ㄱ. 비행장 : 항공기의 종류 등급 형식에 따른 활주로 착륙대 유도로 등의 시설
ㄴ. 항행안전시설 : 이착륙 및 항행의 안전을 도모키 위한 항공등화, 무지향성표지시설, 전방향표지시설,
거리측정시설, 계기착륙시설, 레이더시설, 전술항행 표지시설
ㄷ. 공항 : 항공이용관련 교통계획, 상하수도, 가스, 전력 등 관련지원시설
32. 항공기의 엔진 시동 시에 운항승무원과 지상 작업자가 서로 확인해야 하는 사항을 3가지 이상 써라.
ㄱ. 승무원은 기관 시동 의사를 지상 작업자에게 알리고 작업자는 기관근처의 인원 및 장비가 없음을 확인 한 후 조종실 승무원에게 시동해도 됨을 알리고 정해진 시동순서가 맞는지 확인
ㄴ. 시동 완료 후 지상보조전원 및 공기시동장비의 항공기로부터 분리확인
ㄷ. 항공기로부터 인원, 장비가 안전한 위치로 옮겨진 것을 확인 후 조종실 승무원에게 출발신호
33. 항공기 지상 유도시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ㄱ. 유도신호수의 정위치는 오른쪽이나 왼쪽 날개 끝에서 앞쪽 방향이며, 조종사가 신호를 잘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ㄴ. 유도신호는 동작을 크게 하여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ㄷ. 조종사가 신호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정지신호를 한 다음 다시 신호를 시작해야 한다.
ㄹ. 조종사와 유도신호수는 계속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뒷걸음칠 때에는 정애물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ㅁ. 야간에 항공기를 유도할 경우에는 둥화봉을 사용하여 유도해야 한다.
ㅂ. 야간 유도신호는 정지신호를 제외하고는 주간에서의 유도신호와 같은 방법으로 해야한다.
ㅅ. 야간에 사용되는 정지신호는 "긴급정지" 신호이며 등화봉을 머리 앞쪽에서 X자로 그려 표시해야 한다.
34. 항공기의 주기시 안전사항을 쓰시오.
ㄱ. 가능하면 항공기 기수를 바람부는 쪽으로 향하게 한다.
ㄴ. 마닐라 로프는 젖으면 줄어들기 때문에 약간의 여유를 두고 묶어야 한다.
ㄷ.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조종면등을 고정하고 바퀴에는 고임목을 고인다.
35. 연료 보급시의 주의사항을 써라.
ㄱ. 소화기를 비치한다. ㄴ. 15m 이내에 발화요인 및 물질이 없도록 한다.
ㄷ. 모든 동력장치를 정지시킨다. ㄹ. 항공기, 보급차량, 지면을 3점 접지한다.
ㅁ. 항공기와 연료보급차량과의 거리는 최소 3m이상 유지한다.
36. Cargo Compartment Fire Zone Class "C" Station에 대해 설명하시오.
스모크 탐지기 또는 화자 탐지기로 화재를 발견하고 승무원이 고정 소화장치로 소화 가능한 화물실
37. 연료 보급시 기체와 연료보급차량, 지면을 접지하는 이유는?
연료 보급 중 정전기 방출로 인한 화재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38. 항공기를 정비할 때 잭(jack) 작업의 순서를 간단히 써라.
ㄱ. 각종 안전장치의 기능과 상태를 점검한다.
ㄴ. 잭 작업 전에 항공기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한다.
ㄷ. 항공기에 따라 정해진 잭 위치에 잭 받침을 부착하고 그곳에 잭을 설치한다.
ㄹ. 작업장 주변을 정리정돈을 한 후 각각의 잭에 동일한 부하가 걸리도록 수평을 유지하면서 서서히 항공기를 들어 올린다.
ㅁ. 각각의 잭에 장착된 램 고정 너트를 사용하여 갑작스러운 잭의 침하를 방지
39. 잭 작업 시의 유의사항 5가지를 쓰시오.
ㄱ. 표면이 단단하고 평평한 장소에서 수행한다.
ㄴ. 잭은 사용하기 전에 사용가능 상태를 검사하고, 잭 작업은 4명 이상이 작업한다.
ㄷ.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ㄹ. 위험한 장비나 항공기의 연료를 제거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ㅁ. 항공기가 잭 위에 올려져 있는 동안 잭업이라는 안전표지를 설치해야 한다.
ㅂ. 잭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ㅅ. 잭 패드에 항공기의 하중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해야 한다.
ㅇ. 착륙장치가 다운로크 위치에 있을 때 고정 안전핀이 확실히 부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40. 한쪽바퀴 잭 작업시 사용 잭과 주의사항 3가지를 써라.
단일 받침 잭(single base jack)
ㄱ. 작업전 다른 바퀴의 앞뒤에 촉을 고인다.
ㄴ. 꼬리바퀴식 일때 꼬리바퀴의 앞뒤에 촉을 고인다.
ㄷ.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져 자유롭게 움직일 정도만 들어 올린다.
ㄹ. 앞바퀴를 들어 올릴 때 후방동체 부위를 너무 처지지 않도록 가볍게 지지한다.
41. 항공기용 잭의 종류 2가지를 써라.
ㄱ. 단일 받침 잭 ㄴ. 삼각 받침 잭
42. 항공기 계류시 사용되는 로프의 매듭방법 2가지를 쓰시오.
ㄱ. Bowling knot(보울라인) ㄴ. Square knot(스퀘어)
43. 항공기 계류시 주의사항 5가지를 써라.
ㄱ. 마닐라 로프의 경우 여유를 줄 것
ㄴ. 기수가 가능한 한 바람방향으로 할 것
ㄷ. 부주의로 인한 구조의 손상에 주의할 것
ㄹ. 날개 끝 간격을 충분히 유지할 것
ㅁ. 주위의 움직이는 물체를 제거할 것
44. 눈 위에서 항공기 Towing 방법을 2가지 이상 써라.
ㄱ. starting이 곤란하면 모래를 뿌려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ㄴ. towing전 항공기 타이어가 지상에 얼어붙어 있으면 히터로서 녹인 후 견인하고 wheel 및 brake에 얼음이나 눈이 없는지 확인한다.
ㄷ. towing 시는 가능한 minimum weight condition으로 towing 하고, towing speed는 5MPH 이하로 한다.
45. 항공기 견인시 견인속도와 감독자의 위치는?
견인요원의 보행속도가 원칙이며 시속 8km를 넘지 말아야 하며 감독자는 견인차량 앞에서 걸어가면서 전체를 감시한다.
46. 항공기의 동절기 점검사항 4가지를 써라.
ㄱ. water 및 waste water 계통은 반드시 drain을 실시한다.
ㄴ. 랜딩기어 계통의 steering, mechanism, cable, pully등의 결빙상태 및 윤활상태 점검
ㄷ. wing, control surface, hinge point등에 결빙을 점검하고 결빙의 제거 및 건조 후 비행
ㄹ. 모든 static hole 및 drain hole에 눈, 얼음 등의 결빙을 확인 및 제거
ㅁ. 랜딩기어계통 및 기관계통을 예열하여 작동유의 누설방지 및 원활한 작동이 되도록 한다.
47. 수리순환부품의 상태에 따라 색의 표식은 어떻게 하는가?
ㄱ. 사용가능부품 : 노란색
ㄴ. 수리요구부품 : 초록색
ㄷ. 폐기부품 : 빨간색
48. 터빈기관 신뢰성 계획인란?
터빈기관 및 부품을 감항성이 있는 최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으로 전체를 오버홀 하지 않고 분석결과에 의거 고장가능성이 있는 부분의 수명을 사전 예측하여 이 수명 내에 주기적으로 오버홀 함으로써 고장예방조치를 함
49. 강풍시 파손에 대비한 주의사항 5가지를 써라.
ㄱ. 형식별로 허용된 풍속이상의 강풍 예상시 계류작업을 한다.
ㄴ. 바퀴에 촉을 고인 후 파킹브레이크를 풀어준다.
ㄷ. 기수를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ㄹ. 마닐라 로프가 물에 젖으면 줄어들기 때문에 약간의 여유(1인치)를 두고 묶는다.
ㅁ. 계류 공간은 날개끝과 다른 항공기 날개끝 간격을 충분히 유지한다.
ㅂ. 피토관, 기관, 외부공기 흡입구등 덮개가 필요한 부분에 보호덮개로 덮어준다.
ㅅ. 날개상면에 모래주머니를 놓아 양력발생에 의한 힘을 줄인다.
50.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란?
알루니늄 합금과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이질 금속이 접촉되는 부분에 전기 화학적 작용에 의해 발생
51. 캐슬 너트란?
나사산의 끝부분에 구멍이 나 있는 볼트 및 스터드에 함께 사용하는 너트로 장착부품과 상대운동을 하는 곳에 쓰이고 풀림방지를 위한 코터핀을 체결한다.
52. 비행 전 점검(PR : pre-flight inspection)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당일 첫 비행 전 외부점검, 세척, 필요한 액체 및 기체의 보급, 계통의 작동점검, 지상 지원 장비 등을 점검함으로써 비행준비상태를 확인하는 점검
ㄱ. 비행 중간 점검(TH : thru-flight inspection) : 비행 중간중간의 매 비행직후 수행, 다음 비행에 위해로운 결함여부, 계속 비행 가능여부의 확인
ㄴ. 최종 기회 점검(EOR : end of run-way inspection) : 이륙하기 위하여 활주로 끝 부분에서 이륙전에 수행하는 점검, 기관작동상태, 계통누설상태, 착륙장치, 각종안전장치 등의 이상유무 점검
ㄷ. 비행 후 점검(PO : post-flight inspection) : 당일 마지막 비행 후 내외부 세척, 탑재물 하역, 액체 및 기체의 보급, 운항중 발생한 결함의 수정 등으로 다음날의 비행준비를 위한 점검
53. Flight Time과 Block Time에 대해 설명하시오.
ㄱ. Flight Time : time in service라고도 하며 항공기가 이륙하기 위하여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간부터 착륙하여 착지하는 순간까지의 시간이다.
ㄴ. Block Time :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주기장에서 자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하여 정지할 대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54. 항공일지의 종류 두 가지를 써라.
ㄱ. 탑재용 항공일지 ㄴ. 지상비치용 발동기 일지 ㄷ. 지상비치용 프로펠러 일지
55. 다음 정비문서의 기록과 날인은?
정비작업문서는 빈칸 없이 모든 항목을 기록해야하며 불필요한 기록란은 N/A 또는 사선으로 처리한다. 반별 또는 그룹별로 작업자들이 정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날인은 어떻게 하나? --> 최상위 작업자가 날인한다.
56. 다음 소모성 물품을 설명하라.
ㄱ. Bulk item : 사용되는 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무더기로 쌓아놓고 사용되는 소모성 물품으로 페인트, 오일, 천 등이 있다.
ㄴ. Mandatory replacement item : 지정교체 아이템으로 수리 또는 오버홀 작업과정에서 100% 교환해야 하는 소모성 물품이며 가스켓, 리벳, 오링 등이 있다.
ㄷ. On condition item : 수리작업과정에서 형태에 따라 교환 여부를 결정하는 소모성 물품으로 볼트, 너트, 핀 등이 있다.
'Encycloped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사용기]트래블월렛(TravelWallet) (0) | 2021.11.01 |
---|---|
[항공산업기사]필답 예상 문제(항공기체) (0) | 2017.06.12 |
[항공산업기사]필답 기출 문제 정리(2016.2차) (0) | 2017.04.17 |
[항공산업기사]PART01.항공역학, Chapter 02.비행역학(수식 정리) (0) | 2017.02.07 |
[IT]티스토리 우클릭 드래그 복사 방지 설정하기 (0) | 2017.02.07 |